본문 바로가기
시사

미래 산업, CCS 탄소 포집 저장기술(Carbon Capture Storage )

by 독일곰팅이 2024. 2. 14.

탄소 포집 및 저장 (Carbon Capture and Storage, CCS) 기술

 

대기로부터 이산화탄소를 포획하여 지하 저장소에 안전하게 보관하는 기술

대규모 이산화탄소 배출원인 발전소, 철강 제조 공장, 시멘트 공장 등에서 발생하는 CO2를 줄이는 데 중요한 역할

세 단계로 구성

포집(Capture)

이산화탄소를 배출원에서 분리하여 포획하는 단계

연소 공정, 용해, 흡수 또는 기타 기술을 사용

세 가지 주요 포집 방법: 후송성 및 선행 포집, 연소 후 포집,  바이오매스 연료의 포집

전송(Transport)

포집된 이산화탄소를 저장소로 운송하는 단계.

일반적으로 이산화탄소는 파이프 라인을 통해 지하 저장소로 이동

저장(Storage)

이산화탄소가 안전하게 보관되는 지하 저장소로의 이동 및 보관 단계.

저장소는 주로 깊은 지하 수력학적 구조물이나 오염된 광석층 등이 사용.


CCS 기술은 이산화탄소 배출량을 줄이고 기후 변화에 대응하기 위한 중요한 수단으로 간주되나

기술의 상용화와 보급을 위해서는 여러 기술적, 경제적, 정책적 도전에 대응해야 한다.

예를 들어, CCS 시스템의 비용, 운영 및 유지 보수, 지질 저장소의 안정성 및 확보 등이 주요 고려사항이다.

 

그 외 다양한 탄소 포집 기술

 

DAC (Direct Air Capture)

대기로부터 직접 이산화탄소를 추출하는 것으로, 대규모 팬이나 화학적 흡수체를 사용.

포집 대상이 되는 배출원을 제한하지 않으며, 지속 가능한 에너지원과의 결합을 통해 탄소 중립성을 달성.

BECCS (Bioenergy with Carbon Capture and Storage)

생물 에너지를 사용하여 발전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이산화탄소를 포집하고 저장하는 기술.


Mineral Carbonation

CO2를 산알칼리성 광물과 반응시켜 안정적인 탄소 미네랄로 변환.

대기 중 CO2를 장기적으로 제거하는 데 도움.

Enhanced Weathering

특정 종류의 광석이나 바위를 분쇄하여 지표면에 흩뿌려,

자연적인 기후 프로세스를 모방하여 CO2를 흡수하는 것

이러한 기술들은 각각 장단점이 있으며, 기술의 상용화와 보급을 위해서는 경제적, 기술적, 정책적인 도전이 필요.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