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산원장 기술(DLT, Distributed Ledger Technology)과 블록체인
디지털 데이터를 안전하게 저장하고 공유하는 기술
둘 다 데이터의 위변조를 방지하는 핵심 기술로 활용
개념적 차이
DLT는 블록체인보다 더 넓은 개념
블록체인은 DLT의 한 방식 중 하나
분산원장 기술 (DLT, Distributed Ledger Technology)
정의
분산원장은 여러 참여자가 동일한 데이터를 공유하는 기술
중앙 서버가 아닌 여러 컴퓨터(노드)에 동일한 원장을 분산 저장
보안성과 신뢰성 높음
특징
중앙기관 없이 네트워크 참여자들이 원장을 공유
데이터가 여러 곳에 분산 저장되어 보안성이 높음
변경 시 전체 네트워크에서 합의가 필요
예시
중앙은행 디지털화폐(CBDC)
기업 간 공급망 관리
금융 기관 간 거래 기록 공유
블록체인 (Blockchain)
정의
블록체인은 분산원장 기술의 한 종류
데이터를 블록(Block) 단위로 저장
이를 체인처럼 연결하는 방식
모든 블록은 이전 블록과 암호학적으로 연결
조작이 어렵다.
특징
데이터가 블록 단위로 저장
각 블록에는 이전 블록의 해시값 포함 (연결 구조)
참여자 간 합의(Consensus)를 통해 변경 가능
변경시
기존 데이터는 수정되지 않고 새로운 블록이 추가
예시
비트코인 (Bit coin), 이더리움 (Ethereum) , NFT (대체불가능토큰)
블록체인 vs. 분산원장 기술(DLT) 비교
블록체인 분산원장 기술 (DLT)
정의 데이터를 블록으로 묶어 체인 형태 여러 노드가 원장을 공유하는 기술
구조 블록 단위 저장 해시값으로 연결 블록 구조가 필수 아님
변경 방식 새 블록 추가 방식으로 기록 유지 다양한 방식으로 데이터 저장 가능
예시 비트코인, 이더리움 CBDC, 금융 거래 기록
연극대본에 비유하자면
DLT : 대본 전체 분량을 모든 출연자가 다 가지고 있다
블록체인 : 각 출연자가 본인 분량 대본만 가지고 있다
블록체인은 DLT의 한 종류
CBDC(중앙은행 디지털화폐)는 블록체인을 사용할 수도 있고,
일반적인 DLT 구조를 사용할 수도 있다.
비트코인과 같은 암호화폐는 블록체인을 기반으로 작동
'시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노드(Node)의 의미 (2) | 2025.03.26 |
---|---|
해시태그(#) 어원 (1) | 2025.03.26 |
중앙 은행 디지털화폐 CBDC (Central Bank Digital Currency)란 ? (3) | 2025.03.26 |
스위스 시계가 유명한 이유 (4) | 2025.03.24 |
ADHD 의미와 원인 (4) | 2025.03.24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