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채
국가(정부)가 필요한 자금을 마련하기 위해 발행하는 채권
정부가 자금을 빌리기 위해 국민이나 투자자에게 발행하는 일종의 '차용증'
국채를 발행하면 정부는 일정한 이자를 지급하고,
만기가 되면 원금을 상환하는 방식으로 자금을 조달
국채 관련 용어
만기
국채의 원금을 상환해야 하는 시점
보통 단기(1년 이하), 중기(1~10년), 장기(10년 이상)
이자율
국채를 발행할 때 정해진 이자율
투자자가 정기적으로 받는 이자율
예를 들어, 이자율이 3%인 국채를 샀다면,
매년 원금의 3%에 해당하는 이자를 받게 됨
표면금리와 수익률
표면금리는 국채 발행 시 정해진 고정 이자율
. 반면 수익률은 국채의 시장 가격 변화에 따라 달라지며,
투자자가 실제로 얻게 되는 수익률
국채의 시장 가격이 오르거나 내리면 수익률도 함께 변동
액면가
국채의 기본 금액으로,
만기 시 정부가 투자자에게 상환해야 하는 원금을 의미
시장가격
국채가 발행된 후, 시장에서 거래되는 가격
국채의 이자율이 고정되어 있어도 시장 상황에 따라 가격이 변동할 수 있다.
국채의 종류
고정금리 국채(Fixed Rate Bonds)
이자율이 일정하게 고정된 국채로, 만기까지 일정한 이자 수익을 제공합니다.
변동금리 국채(Floating Rate Bonds)
시장 금리에 따라 이자율이 변동하는 국채로, 주로 단기 국채에서 발행됩니다.
물가연동 국채(Inflation-Linked Bonds)
물가상승률에 따라 이자율이 변동하는 국채
물가 상승에 따른 실질 구매력을 보호하는 용도로 발행됩니다.
국채의 역할
재정 자금 조달
정부가 재정 적자나 공공 사업에 필요한 자금을 마련하는 주요 수단
금융시장 안정화
국채 수익률은 금융시장의 금리를 안정시키는 역할
투자자 보호
안전 자산으로 인식되어,
투자자들이 위험을 줄이기 위해 국채에 투자하기도 함
국채와 경제
국채 금리
통화 정책, 경제 성장률, 인플레이션 등의 경제 상황에 따라 변동
경제가 불안정할 때
투자자들이 국채와 같은 안전 자산을 선호
국채 가격이 상승하고 수익률이 하락하는 경향
경기가 좋으면
국채 수요가 줄어들고 수익률은 상승하는 경향
'시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피자(pizza)의 유래 (3) | 2024.11.16 |
---|---|
한국 최고 간편식 "김밥"의 유래 (0) | 2024.11.16 |
"디폴트 (Default)"정의 (1) | 2024.10.26 |
부동산 관련 용어 "지상권"(地上權) (3) | 2024.10.14 |
세상에 여러 언어가 존재하는이유 ,"바벨탑의 저주" (0) | 2024.10.14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