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스타스 (Rastas) "
여러 맥락에서 사용될 수 있는 단어로
어떤 의미로 사용되는지에 따라 해석이 달라질 수 있으니
문맥을 살펴보는 것이 중요, 주로 두 가지 의미로 사용
라스타파리 운동 (Rastafari Movement)
라스타스는 "라스타파리안(Rastafarian)"의 줄임말
라스타파리 운동의 신봉자를 뜻
라스타파리 운동은 1930년대 자메이카에서 시작된 종교적, 문화적 운동
에티오피아의 황제였던 하일레 셀라시에 1세를 신성한 인물로 숭배
이 운동은 아프리카계 디아스포라의 정체성과 자긍심을 강조
레게 음악과 깊은 연관
라스타파리 신자들은 자연과 조화를 이루는 삶을 중시
특정 헤어스타일인 드레드락스를 유지하거나 채식주의(이탈 푸드)를 실천
한국에서의 "라스타스 (Rastas) " 의미
특정 하위문화나 음악, 패션 스타일을 가리킬 때 "라스타스"라는 단어가 비공식적으로 사용
보통 레게 문화, 힙합, 스트리트 패션 등과 연결되어 이 단어가 사용
Rastas 스타일
라스타파리 문화와 연결된 독특한 패션, 헤어스타일, 색상, 그리고 전반적인 미학을 의미
이 스타일은 단순히 외형적인 요소를 넘어서,
라스타파리의 철학과 생활 방식을 반영
드레드락스 (Dreadlocks) 헤어스타일
드레드락스는 Rastas 스타일의 가장 눈에 띄는 특징 중 하나
머리를 자연스럽게 꼬아서 땋거나,
인위적으로 꼬아서 형성된 머리카락 스타일
이는 성경의 나실인의 서약(특히 삼손 이야기)에 기반을 두고 있으며,
신과의 연결을 상징
색상: 빨강, 노랑, 초록, 검정
이 네 가지 색상은 라스타파리 스타일의 핵심
각각의 색은 특정 의미
빨강: 피와 희생을 상징.
노랑: 풍요와 태양.
초록: 에티오피아 땅과 자연, 생명.
검정: 아프리카인들의 민족적 자긍심과 연대.
이 색상들은 의류, 모자(타말 또는 라스타 캡), 액세서리 등에 자주 사용
의류 및 액세서리
자연 소재: 면, 리넨 등 천연 섬유로 만든 옷이 선호
느슨한 실루엣: 몸을 편안하게 감싸는 루주핏 옷, 특히 로브, 튜닉, 셔츠 등
라스타 캡 (Rasta Cap)
드레드락스를 감싸기 위해 착용하는 헐렁한 니트 모자.
자메이카와 에티오피아의 상징을 새긴 액세서리.
음악과 문화적 상징
레게 음악
밥 말리(Bob Marley)와 같은 아티스트들이 Rastas 스타일을 세계적으로 널리 알렸고
그들의 패션과 철학이 패션 스타일에 반영
라이온 오브 주다 (Lion of Judah)
에티오피아 황실의 상징이자, Rastas 스타일의 자주 사용되는 이미지
철학과 실천
Rastas 스타일은 단순한 외형적 선택이 아니라,
종종 자연과의 조화, 평화, 영적 성장 등 라스타파리 철학을 내면화한 삶의 방식
식생활에서도 채식 위주의 이탈 푸드(Ital Food)를 선호
이는 신체의 순수성을 유지하려는 철학과 연결
이러한 요소들이 독특하고 의미 있는 스타일을 형성
'시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유럽 크리스마스 마켓 대표 음료 , 글뤼바인(Glühwein)의 유래 (1) | 2024.12.03 |
---|---|
이탈 푸드(Ital Food) 의 어원 (1) | 2024.12.02 |
함박스테이크의 유래 (2) | 2024.11.30 |
"고메(Gourmet)"의 어원과 의미 (3) | 2024.11.27 |
"티라미수"의 유래, 나른한 오후에 나를 끌어올리는 최고의 디저트 (0) | 2024.11.26 |
댓글